만듦새: 식탁 위에서
The Figure: On the Table
충남문화관광재단 충남시각예술지원 선정 사업
김형수 양영주
Space Kkachijip
2024. 11.25 — 11.30

Exhibition Details
전시제목
만듦새: 책상 위에서
사업유형
2024 충남문화예술지원사업 충남시각예술지원 선정 사업
주최/주관
충남문화관광재단
기획 및 참여
김형수
참여작가
양영주
전시장소
공간 까치집(천안)
Exhibition Title
The Figure: On the Table
Project Type
Selected Project of the 2024 Chungnam Visual Arts Support Program,
Chungnam Cultural and Arts Support Initiative
Organizer
Chungnam Culture and Tourism Foundation
Planned and Participated by
Kim Hyeongsoo
Participating Artist
Yang Yeongju
Venue
Space Kkachijip, Cheonan
Exhibition Statement
현시대는 미디어와 떨어져 살아갈 수 없는 세상이 되었다. 기술의 혁신과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는 만큼 예측할 수 없는 시대 속에서, 작가들은 끊임없이 새로운 길을 찾아 나가야 하며, 이는 매 순간 작가로서 감당해야 할 숙명처럼 느껴진다.
이번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은 디지털 작업을 통해 표현한 형상들을 작가 개인의 책상이자 눈으로 맛보는 식탁과도 같은 디지털 평면 위에 올려두고, 각자의 방식으로 물질을 탐구하고 있다. 시각예술에서 작품은 늘 하나의 평면 위에 올려지며 관객과 마주하게 되는데, 김형수와 양영주는 이 평면을 디지털 모니터로 대체하고, 이를 식탁처럼 인식하며 그 위에 자신들의 작업을 펼쳐 보이고자 한다.
모더니즘이 회화를 시뮬라크르이자 물질의 놀이로 인식하게 했다면, 세잔은 이를 기반으로 자신만의 양식과 스타일을 창조해냈다. 본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 또한 디지털 매체를 사용하지만, 작업의 본질은 여전히 물질을 가지고 ‘만들어내는 행위’에 있으며, 이는 감각의 새로움과 쾌감을 선사하는 물건을 만들어내기 위한 실험이다.
김형수는 움직임을 통해 회화를 만들어보는 실험을 지속하고 있다. 기존 회화가 물감의 터치들이 축적되어 완성되는 것이라면, 그는 디지털 작업을 통해 진동하는 터치와 운동하는 텍스처로 형상을 구성하고, 그로 인해 하나의 장소를 형성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장소는 실존하는 듯하지만, 떨림과 진동, 그리고 변이하는 속도와 리듬을 통해 생겨나는 감각은 낯설고도 구체적이다. 그는 시간의 흐름을 통해 부피를 생성하며, 이를 ‘결정체-이미지’라 부르고, 자신의 작업 공간인 모니터 위에 하나씩 올려두며 ‘정원’을 가꾸어간다. ‘운동-텍스처’를 기반으로 한 이 회화 실험은 터치와 리듬, 속도, 차이를 통해 시간의 부피를 생성하며, 결국 시간 자체가 회화가 되는 ‘시간-회화’를 구현한다.

양영주는 에너지의 추상적 원리를 인지하고 감각하는 대로 시각화하고자 다양한 시도를 해오고 있다. 2023년부터는 욕망이 사회적 전염을 통해 어떻게 인간의 개성과 다양성에 영향을 주며 변이되는지를 연구하고 있다. 그는 개개인마다 절대 동일할 수 없는 욕망의 단면을 표현하기 위해,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이미지를 출력하고, 다양한 형체를 가진 새로운 이미지를 창조한다. 데이터의 각 픽셀은 즉시 생산되지만, 그 흐름에는 과거와 미래가 반영되어 있으며, 이는 바이러스의 증식 구조와 유사하다. 이에 양영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와 함께 사색 실험을 진행하며, 바이러스가 세포에 도달해 증식할 수 있는 장소를 형성하듯, 인간의 욕망도 머물 수 있는 장소를 얻었을 때에야 비로소 이동하고 증식할 수 있음을 상상한다. 이러한 탐구는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창조적 변이를 통해 표현된다.
만듦새: 식탁 위에서 전시에 참여하는 김형수와 양영주는 각자의 방식대로 물질을 탐구하며, 그 결과물을 눈으로 ‘맛볼 수 있는’ 디지털 식탁, 곧 모니터 위에 올려두었다. 예상치 못한 이미지와 새로운 감각, 우연히 발생한 돌발 흔적들로 구성된 이 형상들은, 하나의 테이블 위에 놓인 서로 다른 요리처럼 관객과 마주할 것이다.
Today, we live in an era inseparable from media. As rapid technological innovation reshapes the world in unpredictable ways, artists are constantly called to find new directions. This pursuit often feels less like a choice and more like a fate—a responsibility that accompanies the identity of being an artist.
The artists participating in this exhibition explore materiality through digital works, placing the forms they create onto the digital plane—both their personal desks and visual dining tables. In the realm of visual art, a flat surface is necessary for a work to face the viewer. Here, KIM Hyeong Soo and Yang Yeong Ju reimagine that surface as the monitor, treating it as a table upon which their works are served.
Modernism taught us that painting is both simulacrum and material play. Cézanne recognized this and forged his own style from it. Likewise, though the artists in this exhibition use digital media, the essence of their practice remains rooted in the act of making—play with matter that leads to the creation of something new, something that offers a sensory pleasure and unfamiliar stimulation.
KIM Hyeong Soo has been exploring how painting might be constructed through movement. Where traditional painting builds up through layered brushstrokes, he constructs vibrating touches and moving textures digitally to shape visual forms and generate spatial experiences. These spaces feel almost real—formed by trembling textures, shifting speeds, and rhythmic transformations. His works produce volume through time, forming what he calls “Crystal-Images.” Like crystals that grow without purpose into specific forms, his works accumulate on his digital table—his monitor—growing into a kind of dreamlike garden, where matter and sensation intertwine. His painting experiment, based on “Moving-Textures,” forms temporal volume through rhythm, speed, difference, and touch, creating what he calls “Time-Painting,” where time itself becomes painting.
Yang Yeong Ju has been exploring ways to visually express the abstract principles of energy as she perceives and senses them. Since 2023, she has been investigating how desire mutates through social contagion and influences individuality and diversity. Using generative AI models, she generates real-time images—each inherently unique—representing various facets of desire in painted portrait forms. While each pixel is instantly produced, its flow is informed by both past and future, resembling the mechanisms of viral replication. In collaboration with a scientist from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she conducted philosophical experiments, imagining how, like a virus that forms space within a host cell to survive, human desire might only begin to move once it finds a place to dwell. Her work embodies this concept through creative mutations between analog and digital expression.
In The Figure: On the Table, KIM Hyeong Soo and Yang Yeong Ju each explore materiality in their own ways, offering their creations on the digital table—the monitor—for the eyes to taste. These images, born of accidental traces, unpredictable encounters, and unfamiliar sensations, gather under the name The Making, like distinct dishes placed side by side on a shared table, inviting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em sensorially.
Exhibition Composition

디지털 매체를 통해 송출되는 작품들로 구성된 전시
총 9점
김형수: 7점
양영주: 1점
합작품: 1점
An exhibition composed of works transmitted through digital media
A total of 9 works
Kim Hyeongsoo: 7 works
Yang Yeongju: 1 work
Collaborative work: 1 piece
Exhibition View











Virtual Exhibition
Press Rel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