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면화(장발머리남자, 우는남자, 중년)
2023, Time-Painting/Digital Painting, UHD(px_variable size), Single Channel Video, 5’
삼면화(triptych)는 각각의 그림이 독립성을 유지하면서도, 함께 배치되었을 때 하나의 전체적인 구성을 이루는 형식을 갖는다. 이는 한 작품 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관람자는 한 번에 전체를 인식할 수 없기에, 자연스럽게 특정한 부분에 집중하며 작품을 경험하게 된다.
프란시스 베이컨(Francis Bacon)은 조각적이고 단편적인 형상들을 배치하는 방식으로 작업한 화가이다. 그는 형상의 고립을 통해 구상적인 요소를 제한하면서도, 개별 형상들이 서로 짝을 이루어 '증인'역할을 통해 짝지워지도록 만들었다. 그의 작업은 직접적인 서사를 담지 않지만, 강렬한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삼면화는 이러한 조형적 실험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방식이다.
베이컨의 작품을 패러디하여 삼면화를 제작한 경험이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베이컨의 방법론일 뿐, 반드시 따를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다. 중요한 것은 각 요소를 독립적인 개체로 구축해 나가는 과정이다. 삼면화의 각 작품 속에는 마네의 '피리 부는 소년'처럼 단독적인 형상들이 존재하며, 보데곤(bodegón)과 같은 오브제들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을 실험하고 탐구하는 과정이 삼면화의 핵심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riptych(The Long-haired Man, The Crying Man, The Middle-aged Man)
The triptych is a compositional format in which each painting maintains its independence while simultaneously forming a cohesive whole when placed together. This principle can also be applied within a single artwork. Since viewers cannot perceive the entire piece at once, they naturally focus on specific sections, experiencing the work in a fragmented yet immersive manner.
Francis Bacon was a painter who employed a method of arranging sculptural and fragmented figures. By isolating forms, he limited representational elements while pairing individual shapes together, allowing them to function as "witnesses" to each other. Although his work does not convey direct narratives, it generates striking imagery, and the triptych format effectively embodies this structural experiment.
Having previously created the triptych as a parody of Bacon’s work, the artist acknowledges that his methodology is not a rigid framework to follow. Rather, what truly matters i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each element as an independent entity. Within each panel of the triptych, solitary figures—reminiscent of Manet’s The Fifer—stand alongside objects akin to those found in bodegón paintings. Exploring and experimenting with these elements lies at the core of the triptych’s esse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