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explore sense and material through my work. When I first started making art, I thought I had to put emotion and meaning into my work, but I gradually broke away from that framework and focused on the ‘act of making’ itself. Art is not a simple reproduction, but a process of creating new objects that can be experienced visually. I want to create works that can convey pure visual sensations, objects that can provide pleasure just by looking at them.
Just as Henri Bergson defined humans as ‘homo faber,’ I find the reason for existence in the process of making something. Just as Francis Bacon said, ‘I sit down in front of the canvas when I don’t know what to do,’ I start my work in a state where I cannot predict the outcome. This is to maintain the essence of the work while making the unexpected and coincidental events my own. Just as many painters have inserted spontaneity in various ways, such as tearing, burning, rubbing, and erasing, I also break away from existing concrete conditions and find new forms.
My work does not remain simple abstraction. I focus on constructing concrete forms while utilizing spontaneity and chance. Just as the Impressionists emphasized the play of materials but had limitations in constructing individual forms, I seek to satisfy both the individuality of forms and the formative completeness. Just as Cézanne learned solidity through Poussin and constructed forms using cones and cylinders, I also wait for the moment of work and build new formative experiences through repetition and difference.
From the viewer’s perspective, if the conceptual conditions are overly emphasized, it becomes difficult to experience the work with pure senses. It is like a person who has never tasted delicious food cannot imagine the taste of it just by looking at a photograph. I want to induce the work to go beyond perceptual action and directly touch the senses and materials. To this end, rather than forcing symbolic interpretation, I aim to work that provides sensory pleasure that can be tasted visually.
While modernism emphasized simulacrum, or the play of materials, Cézanne established his own formative style. I also focus on the act of ‘making’ and try to create differences through constant repetition and variation. I work in a state where the results cannot be predicted, and I continue to ponder and experiment in front of the canvas today to create works that provide a visually intense experience.

나는 작업을 통해 감각과 물질을 탐구한다. 예술을 처음 시작할 때는 작업에 감정과 의미를 담아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점차 그 틀에서 벗어나 ‘만드는 행위’ 그 자체에 집중하게 되었다. 예술은 단순한 재현이 아닌, 시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물건을 창조하는 과정이다. 보는 것만으로 쾌감을 줄 수 있는 대상, 즉 순수한 시각적 감각을 전달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고자 한다.
앙리 베르그송이 인간을 ‘호모 파베르’라 정의했듯, 나는 무언가를 만드는 과정에서 존재의 이유를 찾는다. 프란시스 베이컨이 ‘무엇을 할지 모를 때 비로소 캔버스 앞에 앉았다’고 한 것처럼, 나는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작업을 시작한다. 이는 작업의 본질을 유지하는 동시에, 예상치 못한 돌발과 우연을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함이다. 많은 화가들이 찢기, 태우기, 문지르기, 지우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돌발성을 삽입해온 것처럼, 나 역시 기존의 구상적 여건에서 벗어나 새로운 형상을 찾아간다.
내 작업은 단순한 추상에 머무르지 않는다. 나는 돌발성과 우연을 활용하면서도, 그것을 넘어 구체적인 형상을 구축하는 데 집중한다. 인상파가 물질의 놀이를 강조했지만 개별적인 형상의 구축에는 한계를 가졌던 것처럼, 나는 형상의 개별성과 조형적 완결성을 모두 충족시키고자 한다. 세잔이 푸생을 통해 단단함을 배우고, 원뿔과 원기둥을 활용해 형상을 구축한 것처럼, 나 또한 작업의 순간을 기다리며 반복과 차이를 통해 새로운 조형적 경험을 쌓아간다.
관람자의 입장에서 또한 구상적 여건이 지나치게 강조되면, 작품을 순수한 감각으로 경험하기 어려워진다. 마치 맛있는 음식을 접해보지 못한 사람이 사진만으로 그 맛을 상상할 수 없는 것과 같다. 나는 작품이 지각적 작용을 넘어, 감각과 물질이 직접적으로 와닿을 수 있도록 유도하고 싶다. 이를 위해 상징적 해석을 강요하기보다, 시각적으로 맛볼 수 있는 감각적 쾌감을 제공하는 작업을 지향한다.
모더니즘이 시뮬라크르, 즉 물질의 놀이를 강조했다면, 세잔은 자신만의 조형적 양식을 구축했다. 나 또한 ‘만들기’라는 행위에 집중하며, 끊임없는 반복과 변주를 통해 차이를 만들어내고자 한다. 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상태에서 작업하며, 시각적으로 강렬한 경험을 제공하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 오늘도 캔버스 앞에서 고민하고 실험을 계속해 나간다.
b. 1993.08.24
공주대학교 만화학부 석사 수료
공주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 학부 졸업
개인전
2024 운동繪 Movement-Painting, 표갤러리, 서울
그룹전
2025 세상의 모든 드로잉 in 천안, 뮤지엄호두, 천안
2025 LOGBOOK: Layered Memories, 피어컨템포러리, 서울
2025 Ego.exe, 러브컨템포러리아트, 서울
2025 PIF: 유동하는 이미지, 표갤러리, 서울
2024 만듦새: 식탁 위에서, 공간 까치집, 천안
2024 창조의 하모니-융합의 미학, BOK아트센터, 세종
2024 The Carnival, 대통길작은미술관, 공주
2024 창조융합 전국작가 특별전 2024, 대전 예술가의 집, 대전
2023 맡김차림, 대통길작은미술관, 공주
2023 PANORAMA, H.art1, 서울
2023 청충남많, 대통길작은미술관, 공주
2023 행수와 페니, CN갤러리, 서울
2023 New Era, 표갤러리, 서울
2023 POV-Point of View, 표갤러리, 서울
2023 상리공생, CN갤러리, 서울
2022 운동회, 대통길작은미술관, 공주
2022 공장!공장!공장!, 문래술술센터 술술갤러리, 서울
2021 모니터에서 산책하기2, 민갤러리, 공주
2021 MOD SHOW 2021, ARTERTAIN< 서울
2021 모니터에서 산책하기1, 궁금정원, 공주
2017 SESSO, 온아트, 부산
2017 The New Vision, M컨템포러리, 서울
2016 Creative Light, Projec.D, 서울
2016 청춘걸다2, 동대문구청갤러리, 서울
페어
2024 서울아트쇼 2024, COEX, 서울
2024 2024 화랑미술제 in 수원, 수원컨벤션센터, 수원
2023 KIAF 2023, COEX, 서울
2023 Art Busan 2023, BECSO, 부산
2023 화랑미술제 2023, COEX, 서울
2022 아트페어대구 2022, EXCO, 대구
수상
2023 6회 포트폴리오 박람회 — 7 SELECTED ARTISTS, 우수상
소장처
공주미술은행
2021 MA, Department of cartoon and animation, Kongju University, Completed
2018 BA, Department of cartoon and animation, Kongju University, Graduated
SOLO EXHIBITION
2024 Movement Painting, PYO Gallery, Seoul
GROUP EXHIBITION
2025 All the Drawings in the World in Cheonan, Museum HODU, Cheonan
2025 LOGBOOK: Layered Memories, Piercontemporary, Seoul
2025 Ego.exe, LUV Contemporary Art, Seoul
2025 PIF: Floating Image, PYO Gallery, Seoul
2024 Made Object: On the Table, Space 'Magpie House', Cheonan
2024 Harmony of Creation - Aesthetics of Convergence, BOK Art Center, Sejong
2024 The Carnival, Small art museum on Daetong-gil, GongJu
2024 Special Exhibition of Creative Convergence National Artist 2024, House of artists in Daejeon, Daejeon
2023 Entrustment Meals, Small art museum on Daetong-gil, GongJu
2023 PANORAMA, H-art1, Seoul
2023 Chungcheongnaman, CN Gallery, Seoul
2023 Hangsoo & Peni, CN Gallery, Seoul
2023 New Era, PYO Gallery, Seoul
2023 6th PORTFOLIO FAIR-POV, PYO Gallery, Seoul
2023 Mutual Symbiosis, CN Gallery, Seoul
2022 Sports day, Small art museum on Daetong-gil, GongJu
2022 Factory! Factory! Factory!, Mullae SoolSool Center, Seoul
2021 Walking on the Monitor 2, Min Gallery, GongJu
2021 MOD SHOW 2021, ARTERTAIN, GongJu
2021 Walking on the Monitor 1, Gung-geum garden, GongJu
2017 SESSO, On Art, Busan
2017 The New Vision, M contemporary, Seoul
2016 Creative Light, Projec.D, Seoul
2016 Put one's youth on the line 2, Dongdaemun-gu Office Art Gallery, Seoul
FAIR
2024 Seoul Art Show 2024, COEX, Seoul
2024 Korea Galleries Art Fair in Suwon 2024, Suwon Convention Center, Suwon
2023 KIAF 2023, COEX, Seoul
2023 Art Busan 2023, BECSO, Busan
2023 Korea Galleries Art Fair 2023, COEX, Seoul
2022 Art Fair Daegu 2022, EXCO, Daegu
PRIZE
2023 6th PORTFOLIO FAIR-POV, Excellence Award
COLLECTION LOCATION
Gong-Ju Art Bank
TIME-PAINTING

‘시간-회화’는 회화가 시간 위에서 어떻게 작동할 수 있는지를 묻는 실험이자 실천이다. 나는 이 개념을 통해 회화가 색과 터치를 통해 평면을 점유하던 고전적 방식에서 벗어나, 시간을 매체로 삼고 운동을 재료로 사용하는 새로운 회화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 작업은 단순히 이미지가 움직인다는 물리적 사실에 머물지 않는다. 움직임 자체가 회화의 구조이자 본질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이다. 디지털 평면 위에서 움직이는 터치와 반복되는 운동-텍스쳐는 회화의 감각을 만들어내며, 시간 속에서 부풀어 오른 형상은 단순한 서사가 아니라 감각적 존재로서의 이미지, 곧 결정체-이미지(Crystal-Image)로 발현된다.
‘운동-이미지(Moving-Image)’라는 용어에서 착안한 이 회화는 들뢰즈가 말한 운동의 사유처럼, 하나의 서사로 환원되지 않는 감각의 상태를 만든다. 그것은 기억 이전의 이미지, 재현 바깥의 이미지이며, 베르그송이 말한 물질과 기억 사이의 흐름 속에 위치한다. 화면 위의 형상은 기억으로 수렴되지 않으며, 지속(durée) 안에서 감각을 진동시키는 물질적 상태로 존재한다.
또한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空卽是色)’이라는 반야심경의 사유처럼, 형상은 끊임없이 비어지고 다시 생성된다. 움직이는 회화는 그 틈에서 감각의 현재함을 만든다. 이는 시뮬라크르적인 존재 방식이다. 실재(reality)를 재현하거나 재구성하지 않고, 스스로가 감각과 물질로서 존재하는 이미지를 창조하는 것이다.
나는 이러한 회화의 방향을 나의 스승으로부터 배웠다. 회화를 ‘만들기’라는 동사적 삶의 방식으로 생각하게 되었고, ‘움직이는 회화’는 단순히 결과물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생겨나는 것에 참여하는 실천이 된다. 만들기(making)는 윤리이며, 감각을 만들어내는 물질적 행위이다.
‘시간-회화’는 그렇게 이미지와 물질, 기억과 운동 사이의 중간 지점에서, 감각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회화이다. 그것은 평면의 회화를 시간 속에서 다시 세우는 일이자, 회화가 시간 그 자체가 되는 지점에 도달하려는 시도이다.
Time-Painting is an exploration of how painting can operate within time—an experiment and a practice that seeks to make time itself a medium, and motion its material. It departs from the classical notion of painting that occupies flatness through color and touch, and instead asks how painting might extend into temporality and become a sensory field of movement.
This is not about mere animation or kinetic visuals. It is about movement becoming the very structure of painting. On digital surfaces, I work with moving touches and repetitive motion-textures to generate sensory rhythms. These movements do not simply support the image—they become the image. In this way, the form swells within time and emerges as a Crystal-Image, a form not rooted in narrative but in sensation and presence.
Drawing on Deleuze’s movement-image and Bergson’s ideas of memory and material, my work places itself in the gap between perception and memory—within the durée, where sensation vibrates without being reduced to a representation. The image on screen is not recalled, but constantly forming, vibrating between becoming and dissolution.
Like the Buddhist notion of “Form is emptiness, emptiness is form,” the image in Time-Painting is constantly emptied and re-formed. It does not imitate reality but exists as a simulacrum—an image that generates its own reality as sensation and material.
This trajectory of painting was inherited from my teacher, who taught me to approach art as a verb, not a noun. Painting, for me, is a way of life—a making that is ongoing and ethical. The moving image is not a completed object, but a participation in a continuous process of becoming.
Time-Painting thus exists at the intersection of image and material, memory and motion. It is a practice of re-building painting within time itself—a space where painting and time become indistinguish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