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분
2025, Time-Painting/Digital Painting, 2160x3840(px_variable size), Single Channel Video, 4'
화분은 내 작업의 가장 기초적인 요소이자, 회화적 사유를 시작하는 출발점이다. 나는 변화하는 움직임 (Moving-Image) 속에서 형상을 만들어가며, 회화의 표면을 구축한다. 이 과정에서 ‘나무’는 단순한 재현의 대상이 아니라, 시간-회화가 지향하는 방향성을 가장 명확하게 드러내는 매개체다.
작업 초기, 나는 나무를 그리려 하면 자연스레 ‘땅’을 떠올리게 되었고, 이는 배경을 형성하는 구상적 재 현의 영역으로 빠질 위험이 있었다. 형상 하나하나를 조각하듯 만들어야 했지만, 여전히 나무는 전체적인 맥락 속에서 배경과 분리되기 어려운 존재였다. 그때, 나의 스승님은 “나무를 연습하기보다 화분을 만들어라”고 조언하셨다. 화분은 하나의 독립된 개체로, 그 자체만으로 명료한 형상을 가진다.
지금도 시간-회화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는 나무라고 생각한다. 나무는 다원성을 품으면서도, 디지털 표 면 위에서 하나의 결정체-이미지로 자리한다. 어떤 세계에서도 조화롭게 녹아드는 동시에, 그 자체로 강한 존재감을 발한다.
이 작품은 오랜만에 화분을 연습하며 완성한 결과물이다. 화분이 내 작업의 근본을 상기시키듯, 이 작품 또한 나에게 있어 성장과 성찰의 거울 같은 존재다.
The Pot
The Pot is the most fundamental element of my work and the starting point for my painterly thinking. I construct the surface of painting by forming shapes within the flow of changing movement (Moving-Image). In this process, the “tree” is not simply an object of representation, but a medium that most clearly reveals the direction pursued by Time-Painting.
In the early stages of my work, whenever I tried to draw a tree, I naturally thought of “ground,” which led me into the realm of figurative representation that forms a background. Each shape had to be constructed as if sculpting, but the tree still remained difficult to separate from the background within the overall context. At that time, my teacher advised, “Rather than practicing drawing trees, make a flowerpot.” A flowerpot is an independent object with a clear form on its own.
Even now, I believe the tree is a key element that constitutes Time-Painting. While embracing multiplicity, the tree takes its place as a Crystal-Image on the digital surface. It blends harmoniously into any world, yet also asserts a strong presence on its own.
This work is the result of revisiting the practice of flowerpot-making after a long time. Just as the flowerpot reminds me of the foundation of my work, this piece, too, serves as a mirror of growth and reflection.
